(용인)영랑 김윤식(永郞 金允植) 묘-김해김씨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 산31-1(천주교공원묘원)
김윤식(金允植, 1903∼1950, 아호 영랑(永郞), 본관 김해, 전남 강진에서 아버지 김종호(金鍾湖), 어머니는 김경무(金敬武)사이에서 5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영랑은 어려서 혼인하였으나 1년반 만에 사별하고, 1925년 개성 출신 안귀련(安貴蓮, 헬레나)과 재혼하였다.
1915년 강진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17년 휘문의숙에 입학하여 이때부터 문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당시 휘문의숙에는 홍사용(洪思容)·안석주(安碩柱)·박종화(朴鍾和) 등의 선배와 정지용(鄭芝溶)·이태준(李泰俊) 등의 후배, 그리고 동기생에 화백 이승만(李承萬)이 있어서 문학적 안목을 키우는 데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받았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 강진에서 거사하려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6개월간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192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중학부를 거쳐 같은 학원 영문학과에 진학하였으나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하였다.
광복 후 강진에서 우익운동을 주도하였고, 1948년 제헌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 1949년 공보처 출판국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평소 음악에 대한 조예가 깊어 국악이나 서양명곡을 즐겨 들었고, 축구·테니스 등 운동에도 능하여 비교적 여유있는 삶을 영위하다가, 9·28 서울수복 당시 유탄에 맞아 사망하였다.
시작활동은 박용철·정지용·이하윤(異河潤) 등과 시문학동인을 결성하여 1930년 3월에 창간된 《시문학》에 시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언덕에 바로 누워〉 등 6편과 〈사행소곡칠수(四行小曲七首)〉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문학》·《여성》·《문장》·《조광》·《인문평론》·《백민》·《조선일보》 등에 80여편의 시와 역시(譯詩) 및 수필·평문(評文) 등을 발표하였다.
주요저서로는 《영랑시집》·《영랑시선》·《모란이 피기까지는》이 있다.
김영랑의 묘소를 찾아가는 방법은 용인 천주교공원묘원 관리사무소가 있는 주차장까지 가면 성직자묘역(김수환추기경 묘소) 안내판이 있다. 이 길을 따라 경사진 도로를 따라 고개 마루까지 올라가면 넗은 광장이 나오는데 왼쪽 9시 방향으로 가면 성직자묘역(김수환추기경 묘소)이고, 직진하여 200m~300m쯤 내려가면 도로가 좌측으로 꺾어지는 지점에 삼거리가 있다. 이곳에서 우측 길로 가면 좌측으로 첫번째 포장 산길, 두번째 비포장산길, 세번째 포장산길, 네번째 포장산길인데 이 네번째 산길로 약 30m~40m쯤 들어가서 좌측에 있다. 두 번째 산길과 세 번째 산길 사이 좌측에는 축대가 쌓여있다.
1903. 1. 16. 전남 강진에서 출생
1915. 강진 공립보통학교 졸업
1917. 휘문의숙 입학
1919. 3.1운동 직후 휘문의숙 중퇴, 강진에서 의거하려다 일경에 체포되어
대구형무소에서 6개월간 옥고를 치룸
1920. 일본 아오야마학원(청산학원) 중학부 입학
1922. 일본 아오야마학원 영문과 입학
1923. 관동대지진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
1930. 박용철, 정지용 등과 등과 더불어 「시문학」동인으로 참여
1935. 시문학사에서 <영랑 시집> 간행
1945. 강진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결성, 단장 및 대한청년단장 역임
1949. 8월부터 약 7개월간 공보처 출판국장 역임
1950. 6.25전쟁 때 복부에 파편을 맞고 쓰러져 9월29일 48세로 세상을 떠남
2003. 영랑기념사업회에서 영랑시문학상 제정
2006. 제1회 영랑문학제 개최
'족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김덕승(金德承) (0) | 2011.12.11 |
---|---|
[스크랩] 한지 김상옥열사 동상(漢志 金相玉烈士 銅像) (0) | 2011.12.11 |
[스크랩] 김상옥-독립운동가 (0) | 2011.12.11 |
[스크랩] 김홍일(金弘壹)장군 (0) | 2011.12.11 |
김해김씨 삼현파 (0) | 2011.08.12 |